Microsoft Azure는 국내외 다양한 기업과 공공기관에서 클라우드 인프라로 채택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Azure 관련 기술 역량을 검증하는 자격증의 수요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MSP(Managed Service Provider) 사업을 수행하는 엔지니어 입장에서는 Azure 자격증을 통해 기술 신뢰성을 확보하고 고객 제안 능력을 강화할 수 있기 때문에 전략적인 취득이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Azure 자격증의 체계와, MSP 엔지니어에게 적합한 자격증 로드맵을 정리합니다.🔹 Azure 자격증 종류 (2025년 기준 최신)📌 1. 기초(Fundamentals)AZ-900: Microsoft Azure FundamentalsAzure 개념, 서비스, 가격 정책, SLA, 클라우드..
자주 사용하는 옵션 축어 모음NAME SHORTNAMES APIVERSION NAMESPACED KINDconfigmaps cm v1 true ConfigMapendpoints ep v1 true Endpointsevents ev v1 true Eventnamespaces ns v1 ..
![[Kubernetes] kubectl의 선언형 접근과 명령형 접근](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d7MTGJ%2FbtsHq1btFXH%2FAAAAAAAAAAAAAAAAAAAAACWQl6TyQ5eYmmvkOg3Io3-ippecdtG5P8ZLPWK4Lg1Q%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66523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ukK5UlpPhfsyPVQnzW4il%252FtZyWc%253D)
선언형(Declarative) 접근과 명령형(Imperative) 접근대부분 선언적 방법, 즉 정의 파일(yaml)을 사용하는 작업을 하겠지만, 명령형 방법은 한 번의 작업을 빠르게 완료하거나 정의 템플릿을 쉽게 생성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는 작업 중에 상당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게 해줍니다. 시작하기 전에 아래 명령어를 사용할 때 유용할 수 있는 두 가지 옵션을 먼저 소개하겠습니다.--dry-run: 기본적으로 명령어를 실행하면 리소스가 생성됩니다. 단순히 명령어를 테스트하고 싶다면 --dry-run=client 옵션을 사용하면 됩니다.-o yaml: 화면에 YAML 형식으로 리소스 정의를 출력합니다.위 두 가지를 조합하여 리소스 정의 파일을 빠르게 생성한 후 수정하여 필요한 리소스를 생성..
![[Kubernetes] K8S Service 오브젝트 - LoadBalancer 기본 설명](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bahdUA%2FbtsHqjYdUOO%2FAAAAAAAAAAAAAAAAAAAAALxjom9icqnnPb6-wKHbH7NaVQE8A9YwzwWMHlbT33e8%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66523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mGB6QrHJGomPbG1lzh%252BMWKpN42s%253D)
K8S_Service_OBJ-LoadBalancerLoadBalancer 타입의 서비스는 AWS 와 같은 클라우드 플랫폼에서도 제공되지만, 필요시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LoadBalancer 타입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쿠버네티스가 이 기능을 직접 제공하는 것은 아니며, MetalLB나 오픈스택과 같은 특수한 환경을 구축해야만 합니다. 그중에서 MetalLB라는 이름의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사용하면 쉽게 LoadBalancer 타입의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MetalLB가 설치되어있는 상황에서 해당 기능을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MetalLB 란?클라우드 플랫폼을 사용하지않고 on-premiss 상황에서 로드밸런서를 구현할 수 없는 상황의 경우 베어메탈서버에서 자체적으로 사용할 수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