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bernetes] K8S의 etcd 기본 개념정리
Kubernetes/etcd2024. 5. 14. 23:35[Kubernetes] K8S의 etcd 기본 개념정리

1. ETCD 란?ETCD 란 기본적으로 데이터베이스입니다. 분산 key-value store 로 kubernetes 의 백엔드 시스템으로 활용하면서 그 활용도가 점점 확장되고 있습니다. ETCD는 일반적인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MS, MySQL, PostgreSQL, Oracle 등이 속함) 과 다르게 NoSQL(MongoDB, Cassandra, Redis)에 속합니다. 기존의 데이터베이스 형태와 etcd를 비교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데이터 모델:기존의 데이터베이스는 일반적으로 관계형 데이터 모델을 사용합니다. 이는 테이블과 열로 구성되어 있으며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쿼리하고 조작합니다.반면에 etcd는 key-value 스토어입니다. 각 데이..

[Kubernetes] rook-ceph dashboard 접속
Kubernetes/K8S-Plugins2024. 5. 14. 15:06[Kubernetes] rook-ceph dashboard 접속

Ceph Dashboard 란Ceph Dashboard는 전반적인 Status, mon quorum 상태, mgr, osd 및 기타 Ceph 데몬 상태, 풀 및 PG 상태 보기, 로그 표시 등 Ceph 클러스터 상태에 대한 개요를 제공하는 도구입니다.Ceph Dashboard 활성화dashboard: enabled: true ssl: falserook-ceph 설치시 dashboard 란을 true로 설정하였다면 service 조회시 dashboard가 보입니다.ubuntu@master01:~$ kubectl get svc -n rook-ceph NAME TYPE CLUSTER-IP EXTERNAL-IP PORT(S) ..

[Kubernetes] K8S Service 오브젝트 - NodePort
Kubernetes/OBJ-Service2024. 5. 14. 11:34[Kubernetes] K8S Service 오브젝트 - NodePort

K8S_Service_OBJ-NodePort클러스터 내부 및 외부 통신이 가능한 Service 타입이다.NodePort 는 외부 트래픽을 전달을 받을 수 있고, NodePort 는 CluseterIP 를 wrapping 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종장의 흐름은 결국 CluseterIP 비슷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NodePort 는 이름 그대로 노드의 포트를 사용한다. (30000-32767)그리고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각각의 Node에 동일한 포트를 열게 되는데, 이렇게 열린 포트를 통해서 Node마다 외부 트래픽을 받고 => 그게 결국 CluseterIP 로 모인 후 다시 로드를 분산시키는 방식이다.Service.yamlapiVersion: v1kind: Servicemetadata: name: hostna..

[Kubernetes] K8S Service 오브젝트 - ClusterIP
Kubernetes/OBJ-Service2024. 5. 14. 09:00[Kubernetes] K8S Service 오브젝트 - ClusterIP

K8S Service 오브젝트 - ClusterIP 란?쿠버네티스 내부에서 파드들에 접근할 때 사용합니다. 외부로 파드를 노출하지 않기 때문에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내부에서만 사용되는 파드에 적합합니다.Service.yaml# clusterip-service.yamlapiVersion: v1kind: Servicemetadata: name: hostname-svc-clusteripspec: type: ClusterIP ports: - name: web-port port: 8080 targetPort: 80 selector: app: webserver# hostname.yamlapiVersion: apps/v1kind: Deploymentmetadata: name: hostname..

image